본문 바로가기
알트코인, 앱테크, 메타버스, NFT

쎄타퓨엘 코인(TFUEL) 전망과 호재 알아보기

by yaoyaoya 2022. 9. 2.
반응형

쎄타퓨엘 코인(TFUEL) 전망과 호재 알아보기

쎄타퓨엘 코인(TFUEL) 전망과 호재 알아보기
쎄타퓨엘 코인(TFUEL) 전망과 호재 알아보기

쎄타 블록체인은 동영상 기반의 플랫폼으로 공유를 위한 분산형 비디오 전송 네트워크입니다. 이 플랫폼은 쎄타토큰과 쎄타퓨엘의 두 가지 토큰을 발행하고 있으며 쎄타토큰은 쎄타의 플랫폼에서 기본이 되는 유틸리티 토큰이지만 보안과 스테이킹 등에 사용되며 그 유통량이 점점 감소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 쎄타퓨엘은 매일 수백만 건 이상의 동영상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서 높은 유동성이 동반되며 따라서 초기에는 1억 개의 쎄타토큰을 발행 한 이후에 보유자를 대상으로 에어드롭을 실시하여 쎄타토큰 1개당 5개의 쎄타퓨얼 토큰을 분배하였습니다. 쎄타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분산 비디오 스트리밍 및 전송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으로 비디오가 스트리밍 하는 데 있어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특히 중복된 컴퓨터 및 대역폭을 공유하여 이에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의 낭비 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스트리밍 시장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시장으로 신생 넷플릭스의 주가가 고공 행진하면서 고객을 유치하기도 하고 서비스를 하지 않던 애플에서도 반격을 하는 등 큰 시장으로 성장하는 등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쎄타퓨엘 코인(TFUEL) 삼성 파트너십

쎄타퓨엘은 웹 3.0의 미디어와 시장을 P2P 네트워크 및 비디오 스트리밍을 통하여 콘텐츠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를 완성하였습니다. 쎄타는 구글, 소니, 삼성, CAA, 바이낸스, 블록체인 등 다양한 메이저 회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노드를 운영하고 있어 장래가 촉망받고 있는 플랫폼이며 유튜브 공동설립자인 스티브 첸이 쎄타플랫폼에서 CTO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아는 인물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기존의 라이브 스트리밍이 중앙집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달하기 위한 범위가 너머 넓어서 품질이 좋지 못하며 따라서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요구하며 인프라 병목현상 또한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중앙집중적이고 플랫폼을 운영하고 건립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등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콘텐츠 제작과 플랫폼에 돌아가는 수익과 유통하고 스트리밍 하는 플랫폼의 수익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쎄타는 분산형 P2P전략을 통하여 초과 대역폭과 리소스를 제공하는 시청자에게는 네트워크 활성화 보상으로 토큰을 받게 되며 이러한 시스템은 더욱 높은 품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또한 이러한 인프라를 구성하게 되면 값비싼 인프라가 필요가 없게 되어 수익면에서도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결국 더욱 많은 양질의 콘텐츠가 만들어지게 되고 기존의 스트리밍 동영상 플랫폼보다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게 될 것입니다. 쎄타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서 많은 개발자와 파트너에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길을 열어주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인 디앱을 제작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디앱으로 다양한 카테고리의 동영상 서비스(영화, 스포츠, 교육 등)를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분산형 비디오 전송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버넌스 또한 완전히 분산화되기 대문에 운영이 지속 가능하며 획기적인 멀티 BFT 기술 및 P2P 아키텍처 등을 통하여 이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쎄타퓨엘 코인(TFUEL) 시세 분석

시가총액은 4405억 원이며 총수량은 53억 TFUEL이며 유통량도 동일하다. 상장되어 있는 거래소는 36군데이며 업비트에서만 40% 이상의 거래량이 발생하여 김치코인으로 봐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늘어나면서 우상향하고 있던 중에 오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의 하락과 함께 동반 하락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가격은 84.18원으로 7일 전의 저가인 87원대를 깬 모습입니다. 하지만 아직 밴드 상단인 84원을 아슬아슬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